Back-End/Spring(17)
-
@Transactional과 TransactionTemplate
트랜잭션 관리(Transaction Management)는 데이터베이스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트랜잭션은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어,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모두 실패하도록 보장하는 메커니즘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트랜잭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과 TransactionTemplate 클래스를 제공한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각각의 사용법과 차이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은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제공한다. 이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코드에 최소한의 변경만으로 트랜잭션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메서드나 클래스 수준에 적용하여 해당 범위 내..
2024.05.17 -
배치 업데이트(Batch Update)
배치 업데이트(Batch Update)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한 번에 다수의 레코드를 처리할 때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이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배치 업데이트를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예제 코드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배치 업데이트란?배치 업데이트는 데이터베이스에 다수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작업을 말한다. 여러 개의 SQL 문을 하나의 배치로 묶어 데이터베이스에 한 번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와의 통신 횟수를 줄이고, 각 SQL 문을 개별적으로 실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스프링에서의 배치 업데이트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JdbcTemplate을 사용하여..
2024.05.17 -
Spring Data JDBC
Spring Data JDBC는 Spring 생태계에서 JDBC를 더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터 접근 기술이다. 여기서는 Spring Data JDBC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 그리고 간단한 애플리케이션 예제를 통해 그 기능을 살펴보겠다. Spring Data JDBC란?Spring Data JDBC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ORM(Object-Relational Mapping) 프레임워크와 달리, Spring Data JDBC는 SQL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더 예측 가능하고 간단한 데이터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주요 개념1. Repository 인터페이스Spring Data JDBC에서 데이터 접근의 핵심은 Repository..
2024.05.16 -
@Configuration 및 @Bean vs @ComponentScan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빈(Bean)을 등록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Configuration 및 @Bean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과 @ComponentScan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Configuration과 @Bean@Configuration 애노테이션은 스프링에서 설정 클래스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설정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빈의 구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Bean 애노테이션은 이러한 설정 클래스 내에서 메서드에 적용되어 해당 메서드가 반환하는 객체를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빈으로 등록합니다. AppConfig.java@Configurationpublic class App..
2024.05.14 -
IoC와 DI
IoC (Inversion of Control)우선 IoC는 "제어의 역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프로그램은 개발자가 코드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했습니다. 예를 들어, 객체를 생성하고 의존성을 해결하는 작업을 개발자가 수동으로 처리했습니다.하지만 IoC는 이러한 제어의 흐름을 반전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제어 흐름의 주체가 개발자에서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개발자는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에 의해 객체가 생성되고 의존성이 해결되는 것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DI (Dependency Injection)DI는 "의존성 주입"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객체가 직접 필요한 의존성을 생성하거나 찾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주입받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는 객체..
2024.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