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과 fork를 사용해서 커밋하기

2024. 3. 15. 20:06Git

1. 컴퓨터에 프로젝트를 위한 폴더를 생성한다.

cd // 위치를 처음으로
mkdir devel // devel 폴더 생성
cd devel // devel 폴더로 이동
mkdir my_project //my_project 폴더 생성
cd my_project // my_project 폴더로 이동

pwd // 현재 위치를 보여줌 -> ~/devel/my_project

 

2. 프로젝트 폴더를 초기화한다.

git init // 현재 폴더를 Git저장소로 생성 -> .git폴더가 생성됨

 

3. 초기 branch 이름을 main으로 설정한다.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4. 프로젝트에 파일을 작성한다.

//위치를 my_project로 이동한다. 위와 같이 따라했으면 이미 경로는 my_project이다.

mkdir resources // resources 폴더 생성
cd resources // resources폴더로 이동
echo "name:hjin" >> application.properties // name:hjin라는 내용의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생성

cd .. // my_project로 이동

mkdir src // src 폴더 생성
cd src // src 폴더로 이동
cat > Hello.java // Hello.java 파일 생성
public class Hello{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 Hello.java파일에 내용 입력

 

5. 작성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한다.

 

스테이징 영역

- Git에서 커밋을 준비하는 중간 단계를 말한다.

- 즉, 사용자가 Git 저장소에 파일의 변경사항을 최종적으로 커밋하기 전에, 변경사항을 모아놓은 임시 저장 공간이다.

git add . // 모든 파일 스테이징 영역에 올리기

//만약 일부만 올리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git add Hello.java // Hello.java만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git add application.properties // application.properties만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6. my_project폴더에 .gitignore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DS_Store
build

- .gitignore은 git 저장소에 포함시키고 싶지 않은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7. commit 하기

git commit -m "첫번째 커밋"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li 명령어 모음  (0) 2024.03.15
Git 설정  (0) 2024.03.15